https://www.acmicpc.net/problem/10773
10773번: 제로
첫 번째 줄에 정수 K가 주어진다. (1 ≤ K ≤ 100,000) 이후 K개의 줄에 정수가 1개씩 주어진다. 정수는 0에서 1,000,0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정수가 "0" 일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쓴 수를 지우고, 아닐 경
www.acmicpc.net
문제
나코더 기장 재민이는 동아리 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 장부를 관리하는 중이다.
재현이는 재민이를 도와서 돈을 관리하는 중인데, 애석하게도 항상 정신없는 재현이는 돈을 실수로 잘못 부르는 사고를 치기 일쑤였다.
재현이는 잘못된 수를 부를 때마다 0을 외쳐서, 가장 최근에 재민이가 쓴 수를 지우게 시킨다.
재민이는 이렇게 모든 수를 받아 적은 후 그 수의 합을 알고 싶어 한다. 재민이를 도와주자!
입력
첫 번째 줄에 정수 K가 주어진다. (1 ≤ K ≤ 100,000)
이후 K개의 줄에 정수가 1개씩 주어진다. 정수는 0에서 1,000,0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정수가 "0" 일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쓴 수를 지우고, 아닐 경우 해당 수를 쓴다.
정수가 "0"일 경우에 지울 수 있는 수가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출력
재민이가 최종적으로 적어 낸 수의 합을 출력한다. 최종적으로 적어낸 수의 합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업시간에 Stack을 기본 배열로 구현하는 방법을 배웠다.
현재 Stack의 위치를 알 수 있는 point라는 변수를 생성하니까 참 간단하다.
다만 찝찝한 것은 pop 했을 때 배열의 값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point만 움직인다는 점에서
기존에 JVM의 Stack에 대해 이해하고 있던 것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었다는 것.
import java.io.*;
public class B_1077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K = Integer.parseInt(br.readLine()); //입력횟수 K 받기
int[] stack = new int[K]; //K크기의 정수형 배열 만들기
int point = 0; //Stack의 point
int sum = 0;
for (int i = 0; i<K ; i++) { //입력횟수 K만큼 포문 실행
int data = Integer.parseInt(br.readLine()); //정수 입력받고
if (data==0) { //0일 때 Stack의 포인트를 아래로 이동
point--;
}
else {
stack[point++] = data; //현재 포인트에 값을 집어넣고 포인트를 위로 이동
}
}
for (int j = 0; j<point ; j ++ ) {
sum += stack[j]; //포인트의 -1까지(Stack의 top) 만들어진 Stack 합하기
}
bw.write(Integer.toString(sum));
bw.flush();
bw.close();
}
}

'알고리즘 > BOJ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백준 17478번 : 재귀함수가 뭔가요? (0) | 2022.01.27 |
|---|---|
| (JAVA) 백준 18258번 : 큐 2 (0) | 2022.01.25 |
| (JAVA) 백준 10828번 : 스택 (0) | 2022.01.23 |
| (JAVA) 백준 1427번 : 소트인사이드 (0) | 2022.01.23 |
| (JAVA) 백준 2751번 : 수 정렬하기 2 (0) | 2022.01.23 |